자하미술관
Zaha Museum a center for contemporary art
숨겨진 보물 같은 장소, 부암동 자하미술관
서울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미술관인 자하미술관은 북악산이 내려다보이며, 비봉능선이 병풍처럼 한눈에 들어오는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합니다.
조선시대 문화∙예술의 거목 안평대군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별장 터에 위치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현대적 해석을 통한 전시로 그 역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8년 개관 이래로 새로운 실험과 재정립을 필요로 하는 기성작가의 고민과 함께하며, 가능성은 무궁하지만 상업적 테두리에 갇혀 자유롭지 못한 신진 작가들의 실험의 장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미술을 둘러싼 현실을 직시하며 작가의 작업∙의도를 효과적으로 담아내는 다양한 전시와 교육을 통해서 미술적 담론이 오가는 공간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자하미술관
Zaha Museum a center for contemporary art
숨겨진 보물 같은 장소, 부암동 자하미술관
서울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미술관인 자하미술관은 북악산이 내려다보이며, 비봉능선이 병풍처럼 한눈에 들어오는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합니다.
조선시대 문화∙예술의 거목 안평대군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별장 터에 위치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현대적 해석을 통한 전시로 그 역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8년 개관 이래로 새로운 실험과 재정립을 필요로 하는 기성작가의 고민과 함께하며, 가능성은 무궁하지만 상업적 테두리에 갇혀 자유롭지 못한 신진 작가들의 실험의 장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미술을 둘러싼 현실을 직시하며 작가의 작업∙의도를 효과적으로 담아내는 다양한 전시와 교육을 통해서 미술적 담론이 오가는 공간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자하미술관
Zaha Museum a center for contemporary art
숨겨진 보물 같은 장소, 부암동 자하미술관
서울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미술관인 자하미술관은 북악산이 내려다보이며, 비봉능선이 병풍처럼 한눈에 들어오는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합니다.
조선시대 문화∙예술의 거목 안평대군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별장 터에 위치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현대적 해석을 통한 전시로 그 역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8년 개관 이래로 새로운 실험과 재정립을 필요로 하는 기성작가의 고민과 함께하며, 가능성은 무궁하지만 상업적 테두리에 갇혀 자유롭지 못한 신진 작가들의 실험의 장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미술을 둘러싼 현실을 직시하며 작가의 작업∙의도를 효과적으로 담아내는 다양한 전시와 교육을 통해서 미술적 담론이 오가는 공간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자하미술관
Zaha Museum a center for contemporary art
관람안내
시간: 10:00-18:00
입장료: 일반 1,000원(전시마다 상이)
월요일 휴관

부대시설
야외 조각전시장, 숲 속 강의실

안내
T: 02-395-3222
W: http://www.zahamuseum.org

미술관 소개
숨겨진 보물 같은 장소, 부암동 자하미술관
서울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미술관인 자하미술관은 북악산이 내려다보이며, 비봉능선이 병풍처럼 한눈에 들어오는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합니다.
조선시대 문화∙예술의 거목 안평대군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별장 터에 위치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현대적 해석을 통한 전시로 그 역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8년 개관 이래로 새로운 실험과 재정립을 필요로 하는 기성작가의 고민과 함께하며, 가능성은 무궁하지만 상업적 테두리에 갇혀 자유롭지 못한 신진 작가들의 실험의 장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미술을 둘러싼 현실을 직시하며 작가의 작업∙의도를 효과적으로 담아내는 다양한 전시와 교육을 통해서 미술적 담론이 오가는 공간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소장품 소개
정정엽 - 얼굴
캔버스에 아크릴, 117x91cm, 2007

작품 주제는 곧 숨을 쉰다는 것, 세상이 돌아간다는 것, 이 땅에 여자가 산다는 것, 타인이 산다는 것, 자연이 변하고 또 곁으로 되돌아온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수많은 경계를 가로 지르며 고착될 수 없는 욕망을 씨앗인 “붉은 팥”을 통해 확장시켜나간다. <얼굴>은 작가가 매일매일 한 알씩 작은 씨앗들을 차곡차곡 쌓아 그린 어쩌면 수십년간

일상과 다름없이 반복해온 한국여성의 얼굴이다. 억압된 음의 에너지로서의 여성성에서 벗어나 근원적인 생명의 에너지인 여성성을 드러내며 이로부터 생성하는 열린 구조를 보다 넓은 지평으로 바라보게 한다.

정광호 - The Leaf
구리선 땜, 150x180cm, 2008

94년부터 자신의 조각을 비조각적 조각(non-sculptural sculpture)이라 명명하고 조각이 갖지 않는 반대의 특성들을 작품에 도입하여 자신의 작업이 조각이 아님을 부정하며 끊임없이 자신의 작업이 조각임을 증명하는 역설의 아이러니를 통해 조각의 본질에 대해 탐구한다.
나뭇잎을 모티브로 하여 조각적 특징이라고 하는 물질감이나 양감을 제거한 가는 구리선 작업을 통해 비조각적 상황을 연출함으로서 부정을 통한 조각의 존재방식을 주장한다.
즉 비조각적 조각이란 작가에게 있어 자기 부정과 자기 긍정의 동시적 표현인 것이다.

박형진 - 새싹
Acrylic on Canvas, 91x117cm, 2012

주로 동심을 주제로 사랑스러운 아이와 강아지들의 모습, 동물 친구들과 손을 잡거나 포옹하는 정겨운 모습을 담아낸다. 작품 <새싹>은 과수원에서 자라는 나무의 어린 싹과 풀잎들 그리고 함께 사는 개와 그리고 어린이를 소재로 그림을 그리며 반려하는 동물과 하나가 되어 즐거운 장면을 연출한다.

오윤석 - Hidden Memories-1603
Hand-cutting, Acrylic, Ink Paper, Canvas on Panel, 180x130cm, 2016

동양적 사상과 사유를 기반으로 동양 고전, 불교 경전 등의 텍스트를 자신만의 조형적인 언어로 승화시키는데 일가견이 있다. 특히 전통 한지와 캔버스에 반복적으로 칼집을 내어 문자를 새겨 오려내고, 오려낸 부분을 꼬아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등 여러가지 기법을 활용한다. 위 작품은 허브를 주제로 한 허브시리즈의 연작으로 인간 내면에 감춰진 사회적 불안과 현대인의 마음의 병을 예술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가의 물음에서 시작된 작업이다.  이러한 반복적인 작업 과정을 통하여 자기 수양과 치유를 시도함으로써 정신적 평화를 얻고자 한다.

윤석남 - 아직 봄이다
한지에 먹, 62x46.5cm, 2016

작가의 드로잉은 일기와 같은 것으로 본인의 삶은 물론 소소한 일상들과 더 나아가 환경과 생태등의 주제까지 섭렵하며 작품을 지속해오고 있다. 여성주의 관점의 작품을 위주로 대표되는 그녀의 작품은 '어머니'로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러 인터뷰에서 밝힌 적이 있듯 어머니의 삶과 애환 그리고 그것을 작업으로 풀어내려는 남다른 사랑이 느껴진다. 아직도 봄이라고 외치는 작가는 최근 본인의 자화상을 그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것은 또 질곡 많은 나의 어머니의 얼굴이 되기도 한다.

김영섭- 맛있는 소리
스피커, 스피커케이블, 탁자, 음향장비, 가변크기, 2008

일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기성 스피커 선을 병의 형태로 말아 올려 하나의 단단한 오브제를 형성하고 그 오브제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성격을 반전 혹은 전이시키는 사운드를 설치한다.

병이라는 형태에서 현대인의 목마름과 채워지지 않는 갈증의 욕망을 마우스의 클릭소리와 결합하여 병이 내포하고 있는 1차적 목마름의 욕구를 2차적 정신적 결핍의 현상으로 전이시킨다.

김근중 - 꽃세상(Natural Being,原本自然圖)7-13
캔버스에 아크릴채색, 120×60cm, 2007

꽃 중에 꽃이라 불리는 모란꽃을 대표 이미지로 선택하여 민화속 화조도처럼 강렬한 색감과 화려한 형태를 독특하게 해석하여 그린다.
모란은 부귀를 상징한다. 진정한 부귀란 삶을 자족하고 즐기는 것에서 드러난다. 작품에서 등장하는 말풍선은 기존의 전통민화의 획일화된 이분법사고를 깨기 위해 등장한 것이다. 이분법의 규범이 깨질 때 상대비교가 사라진 진정한 기쁨 즉 부귀한 삶이 완성되는 것이다.

고상우 - Kiss II
Archival Inkjet Print on Diasec, 100x76cm, 2008

작가는 네거티브 기법을 통해 변환된 색과 빛을 이용하여 직접 그리거나 꾸미는 형식에 인종, 문화, 사랑, 정체성 등의 내용을 담아 몽환적인 이미지를 구현한다. 회화와 오브제, 퍼포먼스가 뒤섞인 믹스미디어로 철저한 계획과 의도 하에 색채를 구성하여 사진에 잠재된 회화적인 감각을 극대화하여 작품을 완성시킨다.

김선두 - 느린풍경_소곡
장지에 먹, 분채, 97x243.5cm, 2007

느린 선의 미학을 통해 우리네 느리게 사는 삶의 충만함을 성찰한 그림이다.

만물이 기지개를 켜는 봄날의 대지에 스민 꿈과 노래, 그리고 사랑의 마음을 형상화 하였다.

현대도시의 관계적 삶이 직선이라면 존재적 삶은 곡선적이다. 곡선엔 삶의 넉넉한 여백이 있다.

느리게 사는 것은 주변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의지대로 사는 것이다.

직선이 빠름과 능률을 추구하는 선이라면, 느림과 여유 그리고 자기 삶의 리듬에 맞춰 충만함을 지향하는 곡선이다.

느린 선의 미학을 통해 우리네 삶의 본질을 찾아가는 것이 내 그림이다. 나의 그림 길엔 항상

느린 선의 꿈과 노래, 그리고 사랑의 마음이 함께할 것이다.

강용면 - 온고지신-2000영혼
스테인레스, 종이꽃, 133x133x138cm, 2000

한국미와 정서를 현대적 조형언어로 창출하는 작가로 십장생을 비롯한 생명을 의미하는 알록달록한 동식물들을 나무로 거칠게 깍아 오방색으로 채색한후 누우런 놋그릇에 밥처럼 가득 담아 한국미와 정서를 잘 표현했던 기존작품에서 현대적특성을 살린 스테인리스와 검정색 나무로  재료적 변화를 가져왔다. 온고지신 [溫故知新] 이라는 뜻처럼 작가의 지속된 정체성이 쌓인 작업에서 조각과 회화, 전통과 현대, 채움과 비움, 죽음과 삶, 등 몇 갈래 코드로 작품들을 읽어 낼 수 있다.